재테크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 중에
하나가 주식입니다.
특히나 많은 직장인들이 주식에 투자를
많이 하는데요.
적게는 용돈벌이부터 해서 많게는
일확천금 한방을 노리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런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매도가
2021. 05. 03일자로 재개 되었습니다.
많은 개미투자자들은 이 공매도 제도에 대해서
많은 불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왜 개미투자자들은 공매도 제도를 반대할까요?
공매도란?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는 투자방법입니다. 주로 초단기 매매차익을 노리는 데 사용되는데 향후 주가가 떨어지면 해당 주식을 싼 값에 사 결제일 안에 주식대여자(보유자)에게 돌려주는 방법으로 시세차익을 챙기는 방법입니다.
다시말해 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라는 뜻으로 주식이나 채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주문을 내는 것을 말합니다. 가지고 있지 않은 주식이나 채권을 판 후 결제일이 돌아오는 3일 안에 해당 주식이나 채권을 구해 매입자에게 돌려주면 되기 때문에, 약세장이 예상되는 경우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자가 많이 활용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A종목을 갖고 있지 않은 투자자가 이 종목의 주가하락을 예상하고 매도주문을 냈을 경우, A종목의 주가가 현재 만원이라면 일단 10,000원에 매도한다. 3일 후 결제일 주가가 1,000원으로 떨어졌다면 투자자는 1,000원에 주식을 사서 결제해 주고 주당 9,000원의 시세차익을 얻게 된다.
예상대로 주가가 하락하게 되면 많은 시세차익을 낼 수 있지만, 예상과 달리 주가가 상승하게 되면 공매도한 투자자는 손해를 보게 됩니다. 또 주식을 확보하지 못해 결제일에 주식을 입고하지 못하면 결제불이행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공매도는 주식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한다는 긍정적인 이점이 있지만 이것을 이용해 시장 질서를 교란시키고 불공정거래 수단으로악용하는 사례도 많다고 합니다.
반대하는 이유
우리나라에서 투자자들에게 손해를 입히는 사례가 너무 많고 그것을 당국인 금융감독원에서 제대로 감시 / 감독 / 처벌을 하지 않는 것에 문제가 있습니다.
순진한 주주들에게 빌려와서 주가를 하락시킨후 자신들은 이익을 취하고 개인 주주들은 주가 하락으로 손실을 보는 것이 너무나 많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공매도의 절반은 외국인이고 나머지는 기관들입니다.
공매도를 진행하기 위해선 해당 기업의 정보를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하고 자금 규모가 커야 아무래도 이익을 내기 쉽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개인이 하기엔 어려움이 많습니다.
개인도 공매도를 할 수 있습니다.
대주거래라고 해서 할 수 있지만 절차가 너무 복잡하고 개인이 하기엔 자금 압박이 있어서 상당부분 많은 무리가 있습니다.
공매도는 시장의 효율성과 유동성을 높이고 주식투자 위험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함께합니다. 경우에 따라 공매도는 ‘증권시장의 불안정성을 높이는 투기적 거래’와 ‘시장 효율성과 유동성을 높이고 주식거래 헤지(위험분산)기능을 갖춘 거래 형태’를 겸비한 양날의 검인 셈입니다.
이처럼 적당히 사용하면 약이 되지만 과하게 사용하면 독이 되는 것이 공매도인데 우리나라 기관들은 오직 자신의 수익과 수수료, 수입을 위해 과도한 공매도를 행하고 있는게 가장 큰 문제이고 주가하락의 손실을 개인이 고스란히 받게 되는데 가장 큰 문제가 있습니다. 국가에서 제도적으로 받쳐주지 못한 이유도 있습니다.
앞으로의 주식시장
이번 공매도 재개 대상은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주가지수 구성 종목입니다.
이들 종목이 시가총액이 크고 유동성이 풍부한 종목이 많기 때문입니다.
금융당국은 개미들로부터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비판을 받아온 공매도를 재개하기에 앞서 제도를 고쳤다고 합니다.
개인 투자자가 공매도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새로운 개인 대주제도를 마련한 것이 그 대표적입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증권금융과 증권사에서 주식을 빌려 공매도 투자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개인 대주를 위해 확보된 주식 물량은 모두 2조4천억원 규모라고 합니다.
다만 공매도 투자는 위험한 만큼 경험이 없는 개인 투자자는 미리 금융투자협회에서 사전 교육(30분)을 받고
거래소의 모의 투자(1시간)를 해야만 하고 증권사 별로 차입한도내에서만 가능하다고 하는데 얼마나 실효성이 있는지는 미지수 입니다. 여전히 개인 투자자들에겐 너무 불리한 것 같습니다.
우리모두 어렵고 힘든 시기 모두들 잘 이겨냈으면 좋겠습니다.
'금융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Bitcoin)과 도지코인(Dogecoin)의 차이점 (1) | 2021.07.14 |
---|---|
업비트 상장코인 시가총액 10위 살펴보기 (0) | 2021.06.24 |
일론 머스크 (elon musk)와 암호화폐 (2) | 2021.05.17 |
도지코인 (DODG) 채굴방법 (3) | 2021.05.14 |
도지코인 (Dogecoin) / DOGE (Ð) / 분석 / 전망 (0) | 2021.05.11 |
댓글